티스토리 뷰

(2)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금단과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한국정보화진흥원)

유형(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
- 정보검색중독, 모바일 메신저 중독, SNS 중독,
앱 중독, 모바일 게임 중독, 모바일 성인용 콘텐츠 중독

실태
스마트폰 중독위험군 비율은 청소년 및 성인 스마트폰 이용자가 14.2%(전년 11.8% 대비 2.4% 증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최초 조사년도인   2011년 8.4%에 비해 5.8%나 증가한 수치

실태 연령별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서 청소년 29.2% (1,562천 명), 성인 11.3%(2,999천 명)  
청소년 위험군 비율이 크게 높음

10대(29.2%), 20대(19.6%), 30대(11.3%), 40대(7.9%), 50대(4.8%) 순으로 나타남
연령이 증가할수록 중독위험군 비율 감소

실태 성인의 경우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의 비율이 11.3%로 전년(8.9%) 대비 2.4%포인트 증가
연령대별로는 20대 중독위험군이 19.6%로 50대(4.8%)의 약 4배 수준

실태 성별
남성(11.9%)이 여성(10.5%)에 비해 중독위험군 비율이 높음

원인
스마트폰 사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접근성, 사용자 중심성을 들 수 있음
스마트폰 중독관련 척도지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현재 고영삼(2012)에 의해 청소년 ·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가 개발되어 있음

지도
유치원, 초등학생을 둔 부모의 걱정된 시각과 긍정적 문화현상으로 보는 시각, 현대 산업사회의 병폐로 보는 시각을 객관적으로 고려할 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아동 · 청소년들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음
아동 ·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걱정된 시각
많은 부모들은 아동 · 청소년 자녀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서 확고하고 명확한 소신을 가지고 있지 못한 상태임
부모들이 자녀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상당히     양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 임

사회적 대책방안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다변화를 통한 중독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함
스마트폰 중독 유형별 상담과 치료 연계를 강화함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민 · 관 협력체계 강화 및 공동대응이 필요함
스마트폰 중독 대응기반 구축 및 인프라 조성이 필요함
스마트폰 중독 대응기반 구축 및 인프라 조성이 필요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