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QR인식 or 이미지 클릭하여 회원가입시(평생 수수료 25%이상 할인)-[25% or more discount on commission]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시 바이낸스 코인 거래수수료 25% 평생할인!

25% lifetime discount on Binance Coin transaction fees when you sign up through the link below!

https://accounts.binance.com/en/register?ref=286562663

 

Log In | Binance

login-description

accounts.binance.com

 

바이낸스 추천코드로 가입하고 수수료 25% 평생 할인 받으세요! (바이낸스 가입 레퍼럴코드, 추천

바이낸스 추천코드로 가입하고 수수료 25% 평생 할인 받으세요! 바이낸스 가입코드, 레퍼럴코드, 추천코드, 할인코드  :  ( 286562663 )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시 25%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http

pink24.tistory.com

 

 

사용 목적 :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CPU 대기 시간을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설치하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

특징

주기억장치보다 액세스 속도가 높은 칩 사용

가격 및 제한된 공간 때문에 용량이 적다

캐쉬 적중(cache hit) :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이미 캐쉬에 있는 상태

캐쉬 미스(cache miss) :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쉬에 없는 상태

적중률(hit ratio) : 캐쉬에 적중되는 정도(H)

캐쉬에 적중되는 횟수

H = ---------------------------

전체 기억장치 액세스 횟수

캐쉬의 미스율(miss ratio) = (1 - H)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Ta) :

Ta = H × Tc + (1 - H) × Tm

단, Tc는 캐쉬 액세스 시간, Tm은 주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의 예

[예제 5-1] Tc = 50 ns, Tm = 400 ns인 시스템에서, 캐쉬 적중률이 70%, 80%, 90%, 95% 및 99%일 때의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을 각각 구하라.

H = 70%의 경우 : Ta = 0.7 x 50 ns + 0.3 x 400 ns = 155 ns

H = 80%의 경우 : Ta = 0.8 x 50 ns + 0.2 x 400 ns = 120 ns

H = 90%의 경우 : Ta = 0.9 x 50 ns + 0.1 x 400 ns = 85 ns

H = 95%의 경우 : Ta = 0.95 x 50 ns + 0.05 x 400 ns = 67.5 ns

H = 99%의 경우 : Ta = 0.99 x 50 ns + 0.01 x 400 ns = 53.5 ns

캐쉬의 적중률이 높아질수록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시간은 캐쉬 액세스 시간에 접근

캐쉬 적중률은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지역성(locality)에 크게 의존

지역성(locality)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 : 최근에 액세스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가까운 미래에 다시 액세스 될 가능성이 높다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 기억장치내에 인접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연속적으로 액세스 될 가능성이 높다

순차적 지역성(sequential locality) : 분기(branch)가 발생하지 않는 한, 명령어들은 기억장치에 저장된 순서대로 인출되어 실행된다

캐쉬 설계에 있어서의 공통적인 목표

캐쉬 적중률의 극대화

캐쉬 액세스 시간의 최소화

캐쉬 미스에 따른 지연 시간의 최소화

주기억장치와 캐쉬간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 및 그에 따른 오버헤드의 최소화

캐쉬의 크기 / 인출 방식

캐쉬의 크기

용량이 커질수록 적중률이 높아지지만, 비용이 증가

용량이 커질수록 주소 해독 및 정보 인출을 위한 주변 회로가 더 복잡해지기 때문에 액세스 시간이 다소 더 길어진다

인출 방식

요구 인출(demand fetch) 방식 : 필요한 정보만 인출해 오는 방법

선인출(prefetch) 방식

필요한 정보 외에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정보도 미리 인출

지역성이 높은 경우에 효과가 높다.

주기억장치와 캐쉬의 조직

블록(block) : 주기억장치로부터 동시에 인출되는 정보들의 그룹

주기억장치 용량 = 2n 단어, 블록 = K 단어  블록의 수 = 2n/K 개

슬롯(slot) : 캐쉬에서 한 블록이 저장되는 장소

태그(tag) : 슬롯에 적재된 블록을 구분해주는 정보

사상 방식

어떤 주기억장치 블록들이 어느 캐쉬 슬롯을 공유할 것인 지를 결정해 주는 방법

직접 사상(direct mapping)

완전-연관 사상(fully-associative mapping)

세트-연관 사상(set-associative mapping)

1) 직접 사상

주기억장치의 블록들이 지정된 하나의 캐쉬 슬롯으로만 적재

주기억장치 주소 형식

태그 필드(t 비트) : 태그 번호

슬롯 번호(s 비트) : 캐쉬의 m = 2s 개의 슬롯들 중의 하나를 지정

단어 필드(w 비트) : 각 블록 내 2w 개 단어들 중의 하나를 구분

주기억장치의 블록 j가 적재될 수 있는 캐쉬 슬롯의 번호 i :

i = j mod m

단, j :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 m : 캐쉬 슬롯의 전체 수

슬롯을 공유하는 주기억장치 블록들

각 캐쉬 슬롯은 2t 개의 블록들에 의하여 공유

같은 슬롯을 공유하는 블록들은 서로 다른 태그를 가짐

캐쉬 슬롯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들
0
1

m-1
0, m, …, 2t+s–m
1, m+1, …, 2t+s–m+1

m-1, 2m-1, …, 2t+s–1

직접 사상 캐쉬의 조직

직접 사상 캐쉬의 동작 원리

캐쉬로 기억장치 주소가 보내지면, 그 중 s-비트의 슬롯번호를 이용하여 캐쉬의 슬롯을 선택

선택된 슬롯의 태그 비트들을 읽어서 주소의 태그 비트들과 비교

두 태그값이 일치하면 (캐쉬 적중)  주소의 w 비트들을 이용하여 슬롯내의 단어들 중에서 하나를 인출하여 CPU로 전송

태그값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캐쉬 미스)

주소를 주기억장치로 보내어 한 블록을 액세스

인출된 블록을 지정된 캐쉬 슬롯에 적재하고, 주소의 태그 비트들을 그 슬롯의 태그 필드에 기록

만약 그 슬롯에 다른 블록이 이미 적재되어 있다면, 그 내용은 지워지고 새로이 인출된 블록을 적재

직접 사상 캐쉬의 장단점

[장점]

하드웨어가 간단하고, 구현 비용이 적게 든다

[단점]

각 주기억장치 블록이 적재될 수 있는 캐쉬 슬롯이 한 개뿐이기 때문에, 그 슬롯을 공유하는 다른 볼록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swap-out 됨

직접 사상 캐쉬의 예

주기억장치 용량 = 128(27) 바이트

주기억장치 주소 = 7 비트 (바이트 단위 주소 지정)

블록 크기 = 4 바이트

 주기억장치는 128/4 = 32 개의 블록들로 구성

캐쉬 크기 = 32 바이트

캐쉬 슬롯 크기 = 4 바이트 (블록 크기)

전체 캐쉬 슬롯의 수 m = 32/4 = 8 개

기억장치 주소 형식

각 기억장치 블록이 공유하게 될 캐쉬 슬롯 번호 i = j mod 8

직접 사상 캐쉬에서의 적중 검사 예

(1) 0101000 (2) 0001100 (3) 1110100 (4) 1011000

<풀이>

(1)캐쉬 미스  2번 슬롯의 데이터 필드 : ‘info’, 태그 : 01

(2)캐쉬 적중 : 3번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3) 캐쉬 미스  5번 슬롯의 데이터 필드 : ‘tech’, 태그 : 11

(4) 캐쉬 적중 : 6번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완전-연관 사상

주기억장치 블록이 캐쉬의 어떤 슬롯으로든 적재 가능

태그 필드 =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

기억장치 주소 형식

직접 사상 캐쉬의 예에 완전-연관 사상 방식을 적용하면,

완전-연관 사상 캐쉬의 조직

완전-연관 사상 캐쉬의 장단점

[장점]

새로운 블록이 캐쉬로 적재될 때 슬롯의 선택이 매우 자유롭다

지역성이 높다면, 적중률이 매우 높아진다

[단점]

캐쉬 슬롯들의 태그들을 병렬로 검사하기 위하여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회로가 필요

3) 세트-연관 사상

직접 사상과 완전-연관 사상의 조합

주기억장치 블록 그룹이 하나의 캐쉬 세트를 공유하며, 그 세트에는 두 개 이상의 슬롯들이 적재될 수 있음

캐쉬는 v 개의 세트들로 나누어지며, 각 세트들은 k 개의 슬롯들로 구성

캐쉬 슬롯의 수 m과 주기억장치 블록이 적재될 수 있는 캐쉬 세트 번호 i

m = v x k

i = j mod v

단, i : 캐쉬 세트의 번호

j :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

m : 캐쉬 슬롯들의 수

기억장치 주소 형식

태그필드와 세트필드를 합한 (t+d)비트가 주기억장치의 2(t+d)블록들 중의 하나를 지정

직접 사상 캐쉬의 예에 완전-연관 사상 방식을 적용하면,

세트 수 = 캐쉬 슬롯 수 (v = m), 세트내 슬롯의 수 k = 1  직접 사상

세트 수 = 1, 세트내 슬롯의 수 = 캐쉬의 전체 슬롯 수 (k = m)  완전-연관 사상

세트-연관 사상의 동작 원리

기억장치 주소의 세트 비트들을 이용하여 캐쉬 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

주소의 태그 필드 내용과 그 세트내의 태그들을 비교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캐쉬 적중)

 그 슬롯내의 한 단어를 w 비트에 의해 선택하여 인출

일치하는 것이 없다면 (캐쉬 미스) 

주기억장치를 액세스

슬롯들 중의 어느 슬롯에 새로운 블록을 적재할 것인 지를 결정하여 교체(교체 알고리즘 필요)

세트-연관 사상 캐쉬의 조직

교체 알고리즘

세트-연관 사상에서 주기억장치로부터 새로운 블록이 캐쉬로 적재될 때, 만약 세트내 모든 슬롯들이 다른 블록들로 채워져 있다면,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새로운 블록으로 교체

교체 알고리즘 : 캐쉬 적중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체할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

최소 최근 사용(Least Recently Used: LRU) 알고리즘 : 사용되지 않은 채로 가장 오래 있었던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

FIFO(First-In-First-Out: FIFO) 알고리즘 : 캐쉬에 적재된 지 가장 오래된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

최소 사용 빈도(Least Frequently Used: LFU) 알고리즘 : 참조되었던 횟수가 가장 적은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

교체 알고리즘 예

LRU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세트-연관 사상 캐쉬로 아래와 같은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들어온다고 할 때, 각 슬롯에 적재되는 블록을 표시하고 적중률(H)을 구하라. 단, 각 세트의 슬롯 수는 (a) 2개, 혹은 (b) 3개이다.

쓰기 정책 (write policy)

캐쉬의 블록이 변경되었을 때 그 내용을 주기억장치에 갱신하는 시기와 방법의 결정

쓰기 정책의 종류

Write-through : 모든 쓰기 동작들이 캐쉬로 뿐만 아니라 주기억장치로도 동시에 행해지는 방식

[장점] 캐쉬에 적재된 블록의 내용과 주기억장치에 있는 그 블록의 내용이 항상 같다

[단점] 모든 쓰기 동작이 주기억장치 쓰기를 포함하므로, 쓰기 시간이 길어진다

Write-back : 캐쉬에서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주기억장치에는 갱신되지 않는 방식

[장점] 기억장치에 대한 쓰기 동작의 횟수가 최소화되고, 쓰기 시간이 짧아진다

[단점] 캐쉬의 내용과 주기억장치의 해당 내용이 서로 다르다

 블록을 교체할 때는 캐쉬의 상태를 확인하여 갱신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를 위하여 각 캐쉬 슬롯이 상태 비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중프로세서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불일치

다중프로세서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불일치 문제(data inconsis-tency problem) : 주기억장치에 있는 블록의 내용과 캐쉬 슬롯에 적재된 복사본들 간에 서로 달라지는 문제

다중 캐쉬(multiple cache)

온-칩 캐쉬(on-chip cache) : 캐쉬 액세스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CPU 칩내에 포함시킨 캐쉬

1) 계층적 캐쉬(hierarchical cache)

온-칩 캐쉬를 1차(L1) 캐쉬로 사용하고, 칩 외부에 더 큰 용량의 2차(L2) 캐쉬를 설치하는 방식

L2는 L1의 슈퍼-세트(super-set) L2의 용량이 L1보다 크며, L1의 모든 내용이 L2에도 존재

먼저 L1을 검사하고, 만약 원하는 정보가 L1에 없다면 L2를 검사하며, L2에도 없는 경우에만 주기억장치를 액세스

L1은 속도가 빠르지만, 용량이 작기 때문에 L2 보다 적중률은 더 낮다

2-단계 캐쉬 시스템의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

Ta = H1 x TC1 + (H2 - H1) x TC2 + (1 - H2) x Tm

분리 캐쉬 (split cache)

캐쉬를 명령어 캐쉬와 데이터 캐쉬로 분리

명령어 인출 유니트와 실행 유니트 간에 캐쉬 액세스 충돌 현상 제거

대부분의 고속 프로세서들(Pentium계열, PowerPC 등)에서 사용

분리 캐쉬의 예: PowerPC 620 프로세서

분리 캐쉬의 예: 인텔 이타늄(Itanium) 프로세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바이낸스 코인 거래수수료 25% 평생할인받기

 

바이낸스 추천코드로 가입하고 수수료 25% 평생 할인 받으세요! (바이낸스 가입 레퍼럴코드, 추천

바이낸스 추천코드로 가입하고 수수료 25% 평생 할인 받으세요! 바이낸스 가입코드, 레퍼럴코드, 추천코드, 할인코드  :  ( 286562663 )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시 25%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http

pink24.tistory.com

 

비트코인 바이낸스 거래소 선물거래, 마진거래방법 가이드 - 바이낸스 회원가입(계정생성)

 

비트코인 바이낸스 선물거래, 마진거래 방법 feat.바이낸스 회원가입

바이낸스 거래소 선물 및 마진거래 방법! ------------------------------------------------------------------------ 1. 바이낸스 회원가입 2. 국내코인거래소에서 코인을 구매 후 바이낸스 지갑으로 전송. 3...

pink24.tistory.com

 

비트코인 바이낸스 마진거래방법, 선물거래방법 - USDT

 

바이낸스 선물, 마진거래 방법 (USDT)

Usdt 거래에 필요한 기존 단계들은 아래 링크드린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pink24.tistory.com/9 비트코인 바이낸스 선물거래, 마진거래 방법 feat.바이낸스 회원가입 바이낸스 거래소 선물

pink24.tistory.com

댓글

QR인식 or 이미지 클릭하여 회원가입시(평생 수수료 20%이상 할인)-[20% or more discount on commission]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